고 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- 인도불교를 다시보다 1강 : 인도불교의 사상적 흐름
붓다의 깨달음과 12연기에 담긴 비밀 : 12연기와 태생학 [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2강]
유식학의 핵심교리 : 마음의 비밀을 끝까지 파고든 유식사상 [김성철 교수 마지막 강의 16강]
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: 한국불교를 위한 보약같은 가르침 - 보리도차제론 [인도불교를 다시보다 20강]
초기불교 근본교학의 핵심은, 운전자 시점으로 살라는 것 [김성철 교수 7강] #김성철교수
중관사상 1시간만에 쏙쏙 이해하기 [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15강 - 인도불교를 다시보다]
불교발생의 역설 : 바라문교가 불교를 만들었다 [고 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4강]
[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5강] 기득권 바라문에 맞선 자유사상가 사문의 출현
붓다의 생애 다시 보기 : 우리가 부처님의 삶에서 놓쳤던 것은 무엇인가 ? [고 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 6강 ]
구사론이 바라본 번뇌의 본질과 이를 극복하는 수행법 [김성철 교수의 마지막 강의] 11강 설일체유부의 교리2
김성철 교수, "윤회가 힌두교사상이라고? 불교사상이 아니고? #shorts
신 마저도 윤회하며 고통받는 공간, 삼계와 삼천대천세계 : 불교의 공간개념 [김성철 교수 마지막 강의 3강 - 인도불교사상사]
대승불교 경전은 누가? 왜 만들었을까? 반야경, 화엄경, 법화경, 능가경 [김성철교수의 마지막 강의 인도불교를 다시보다 13강]
김성철 교수, 대승불교 핵심교리 : 보살도, 육바라밀, 타방정토, 법신불, 여래장 불성론 [인도불교를 다시보다 14강]
일본,중국,한국불교에서 가장 중시하는 각기 다른 경전들은? #김성철 교수 #동국대 #불교학